로컬디인_LocalD.In
  • Home
  • LocalD.In
  • LocalD.In NEWS
  • 뉴스 아카이빙
  • 깍지뉴스 보고서
  • 행궁동 로컬 인사이트 보고서
Sign in Subscribe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10회: 잘파 세대가 쓰는 벽화마을의 다음 챕터

localD.In

localD.In

2025년 9월 5일 11 min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10회: 잘파 세대가 쓰는 벽화마을의 다음 챕터
출처: 수원시 포토뱅크(http://photo.suwon.go.kr/)


들어가며

데이터는 때로 우리에게 익숙한 풍경 뒤에 숨겨진 진실을 보여준다. 여기 두 개의 데이터가 있다. 하나는 2018년 정점을 찍은 뒤 꾸준히 하락하는, 행궁동 벽화마을에 대한 관심의 궤적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바로 그 시점부터 무섭게 상승하기 시작하는, 10대들의 행궁동에 대한 관심의 궤적이다. 하나의 공간을 두고 하강하는 선과 상승하는 선이 교차하는 이 지점에서 우리는 무엇을 읽어야 할까?

이는 단순히 한 콘텐츠의 쇠락과 새로운 세대의 등장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것은 도시의 에너지가 어떻게 전이되고, 죽어가는 공간이 어떻게 새로운 컨텍스트를 만나 되살아나는지에 대한 이야기이다. 행궁동의 상징이었던 벽화의 시대가 저물고, 학생 수 감소로 텅 비어가던 하굣길 위로 행궁동 전체의 ‘힙’한 에너지가 스며들었다. 그리고 그 길을 걷는 Z세대와 알파 세대, 즉 ‘잘파 세대’가 그 에너지를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해석하며 새로운 문화를 싹틔우고 있다. 잊혀진 벽화마을에서 포착된 이 데이터의 교차점은, 행궁동의 다음 10년을 이끌어갈 가장 강력한 기회의 신호탄이다.

This post is for subscribers only

Subscribe now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Read next

행궁동 인터뷰 시리즈 2편: [참좋은수다] 행궁동의 길목에서 길을 묻다

행궁동 인터뷰 시리즈 2편: [참좋은수다] 행궁동의 길목에서 길을 묻다

들어가며 행궁동(행리단길) 상권이 시작되는 길목, 가장 먼저 방문객을 맞이하는 자리에 ‘지구인의 놀이터’가 있다. 행궁동을 찾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스쳐 지나갈 수밖에 없는 곳이다. 하지만 모두가 지나가는 자리에 있다는 것은, 오히려 그 안의 진짜 이야기를 아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는 의미일지도 모른다. 이 가게의 이야기는 이름이 세 개인 데서 시작한다.
localD.In 2025년 10월 17일
행궁동 인터뷰 시리즈 1편: [파닥파닥클럽] 행궁동의 저녁은 재즈로 채워질 수 있을까?

행궁동 인터뷰 시리즈 1편: [파닥파닥클럽] 행궁동의 저녁은 재즈로 채워질 수 있을까?

들어가며  행궁동을 무엇으로 정의할 수 있을까? 오래된 성곽과 주택을 개조한 카페가 겹쳐진 풍경, 주말이면 거리를 가득 메우는 방문객의 숫자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권은 그 안에 생동하는 브랜드들의 총합 이기도 하다. 그래서 상권은 평당 1,000만원 같은 부동산 개념이 아니라, 각자의 이야기를 가진 가게들이 모여 만드는 하나의 생태계다.
localD.In 2025년 10월 17일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13회: 장밋빛 미래에 던지는 불편한 질문, '힙함'은 왜 돈이 되지 않을까?(1부)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13회: 장밋빛 미래에 던지는 불편한 질문, '힙함'은 왜 돈이 되지 않을까?(1부)

들어가며 행궁동은 '2024년 한국 관광의 별(수원 화성&행궁동)'을 받으면서 전국의 관광지가 부러워하는 장소가 되었다. 그 동안의 뉴스레터들을 통해 우리는 행궁동이 문화와 역사를 자산으로 방문객을 유인하며 성장해 온 과정을 목격했다. 낡은 주택가에 스며든 감각적인 가게들, 고즈넉한 돌담길을 따라 흐르는 젊음의 활기. 행궁동은 하나의 거대한 유기체처럼 보이며,
localD.In 2025년 9월 26일

Subscribe to 로컬디인_LocalD.In

행궁동에서 발견한 새로운 이야기를 제일 먼저 만나보세요.
  • Sign up
LocalD.In 뉴스레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