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8회: 유동인구와 매출, 어디서 엇갈리는 걸까? 행궁동 골목과 수원 대형쇼핑몰을 비교해보니 흥미로운 차이가 드러난다. 단번에 지갑을 여는 쇼핑몰 소비와, 골목길에서 가볍게 즐기는 로컬 소비가 데이터로도 포착된다. 이에 따라 상인들의 고민도 깊어지는 모양새다. 그렇다면 “사람은 이렇게 많은데, 왜 매출은 적을까”라는 물음을 어떻게 풀어야 할까. 이번 뉴스레터에서 그 해답을 찾아본다.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7회: 스크린에 비친 행궁동 전 세계 시청자를 끌어모으고 있는 K-드라마가 행궁동을 K-드라마의 대표 촬영지로 만들었다. 예전엔 사극을 보조하던 공간이 이제 드라마틱한 주인공이 된 것이다. 글로벌 2억 명 시청자들의 시선, 과연 상인들에게도 새로운 기회일까? OTT가 불러온 이 파도를 올라타는 것이 두렵기도 하다. 모두가 함께 행궁동을 브랜드로 만들어 각각의 ‘행궁동스러운’ 감동을 전해보는 건 어떨까? 넷플릭스는 2억 명이 우리를 주목 하는 중 이다.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5회: 수원의 작은 골목이 전국구 통닭거리가 되다 아버지가 퇴근길에 사오던 종이봉투 속 통닭의 향기는 수원 사람들의 공통된 추억이다. 단순한 골목이었던 수원 통닭거리는 이제 도시를 대표하는 문화적 아이콘으로 자리잡았다. 데이터는 2017년부터 전국적 인지도가 급상승했으며, 영화 '극한직업'으로 결정적 전환점을 맞았음을 보여준다. 추억과 트렌드, 미디어, 지역 축제가 결합되어 오늘날의 브랜드 파워를 만들고 있는, 이 작은 골목의 이야기를 통해 로컬 음식이 어떻게 도시의 정체성으로 진화하는지 보여주는 흥미로운 여정을 들여다 보자.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4회: [행궁동 시리즈 4] "당신은 누구십니까?", "나는..." 중국과 일본의 2030 여성들은 우리가 아는 행궁동과는 다른 기대를 품고 이곳을 찾습니다. 단순한 관광지가 아닌, 각자의 문화와 한국의 전통이 어우러진 특별한 경험을 원하죠.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그들의 문화적 기대와 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행궁동이 외국인에게 어떻게 더 의미 있는 장소로 다가갈 수 있을지 살펴봅니다.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3회: [행궁동 시리즈 3] 행궁동 외국인 방문객의 현실, '숨겨진' 보석 이번 뉴스레터는 팬데믹 이후 변화한 외국인 방문객 흐름 속에서 행궁동의 숨겨진 가능성을 탐구한다. 최근 뜨거운 상권인 행궁동이 아직 글로벌 무대에서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을 찾는 외국인 방문객들에게 다가갈 방법을 이야기 해보자.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2회: [행궁동 시리즈 2] 행궁동에서 팝업스토어?!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주말에 인파가 몰리는 반면, 주중에는 한적한 모습을 보이는 행궁동의 이면을 살펴보았습니다. 주중의 한가함은 상인들에게는 도전일 수 있지만, 오히려 정서적 소비를 원하는 방문객들에게는 더 큰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성수동과 달리, 행궁동은 소수의 사람들과 감정적 연결을 형성하고, 고즈넉한 공간에서 정서적 만족을 얻는 장소로서의 매력을 제공합니다. 정서적 소비와 애착공간의 개념을 바탕으로, 행궁동은 일상의 소소한 충전과 감정적 만족을 위한 특별한 상권으로 성장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