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12회: 남문시장의 두 얼굴, 데이터가 발견한 ‘밤’이라는 새로운 가능성(2부)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12회: 남문시장의 두 얼굴, 데이터가 발견한 ‘밤’이라는 새로운 가능성(2부)

들어가며 지난 11회 뉴스레터에서 우리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남문시장의 새로운 가능성으로 '밤'이라는 시간과 '야시장'이라는 모델을 발견했다. 시장을 둘러싼 우호적인 환경에도 불구하고 수년째 정체된 ‘관심의 괴리’ 현상은, 남문시장의 가치를 설명하던 기존의 ‘언어’가 유통기한을 다했음을 의미했다. 그리고 행궁동의 꺼지지 않는 저녁 활력 데이터는, 시장 내부의
localD.In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11회: 남문시장의 두 얼굴, 데이터가 발견한 ‘밤’이라는 새로운 가능성(1부)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11회: 남문시장의 두 얼굴, 데이터가 발견한 ‘밤’이라는 새로운 가능성(1부)

들어가며 주말의 행궁동 골목을 한번 상상해보자. 갓 구운 빵 냄새와 커피 향이 공기를 채우고, 감각적인 쇼룸과 아기자기한 식당 앞에는 설레는 기다림의 줄이 이어진다. 골목마다 젊은 웃음소리가 터져 나오고, 사람들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이 공간의 일부가 되어 반짝이는 순간을 기록한다. 이것이 우리가 아는 행궁동의 눈부신 현재이다. 그런 행궁동 중심상권에서 몇백 미터만 걸음을
localD.In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10회: 잘파 세대가 쓰는 벽화마을의 다음 챕터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10회: 잘파 세대가 쓰는 벽화마을의 다음 챕터

들어가며 데이터는 때로 우리에게 익숙한 풍경 뒤에 숨겨진 진실을 보여준다. 여기 두 개의 데이터가 있다. 하나는 2018년 정점을 찍은 뒤 꾸준히 하락하는, 행궁동 벽화마을에 대한 관심의 궤적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바로 그 시점부터 무섭게 상승하기 시작하는, 10대들의 행궁동에 대한 관심의 궤적이다. 하나의 공간을 두고 하강하는 선과 상승하는 선이 교차하는 이
localD.In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9회: 검색 데이터로 본 진짜 행궁동 워너비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9회: 검색 데이터로 본 진짜 행궁동 워너비

들어가며 행궁동은 흔히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 여성들이 좋아하는 '힙'한 동네"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지난 몇 년간의 온라인 검색 기록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흥미로운 사실이 드러난다. 2018년부터 최근까지, 행궁동에 가장 꾸준히 관심을 보인 연령대는 바로 19-24세 여성들 이었다. 최근 1~2년 사이 행궁동 거리에 유독
localD.In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8회: 유동인구와 매출, 어디서 엇갈리는 걸까?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8회: 유동인구와 매출, 어디서 엇갈리는 걸까?

행궁동 골목과 수원 대형쇼핑몰을 비교해보니 흥미로운 차이가 드러난다. 단번에 지갑을 여는 쇼핑몰 소비와, 골목길에서 가볍게 즐기는 로컬 소비가 데이터로도 포착된다. 이에 따라 상인들의 고민도 깊어지는 모양새다. 그렇다면 “사람은 이렇게 많은데, 왜 매출은 적을까”라는 물음을 어떻게 풀어야 할까. 이번 뉴스레터에서 그 해답을 찾아본다.
localD.In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7회: 스크린에 비친 행궁동

행궁동 로컬 뉴스레터 7회: 스크린에 비친 행궁동

전 세계 시청자를 끌어모으고 있는 K-드라마가 행궁동을 K-드라마의 대표 촬영지로 만들었다. 예전엔 사극을 보조하던 공간이 이제 드라마틱한 주인공이 된 것이다. 글로벌 2억 명 시청자들의 시선, 과연 상인들에게도 새로운 기회일까? OTT가 불러온 이 파도를 올라타는 것이 두렵기도 하다. 모두가 함께 행궁동을 브랜드로 만들어 각각의 ‘행궁동스러운’ 감동을 전해보는 건 어떨까? 넷플릭스는 2억 명이 우리를 주목 하는 중 이다.
localD.In
깍지 뉴스레터 8회: 팔달문과 장안문 사이, 시간의 결이 만드는 도시 이야기

깍지 뉴스레터 8회: 팔달문과 장안문 사이, 시간의 결이 만드는 도시 이야기

도시의 시간은 때로 공간을 가르며 흐른다. 수원의 팔달문과 장안문 사이에서도 그런 시간의 흔적이 선명하다. 검색 데이터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준다. 장안문은 젊은 세대의 '핫플레이스'로 떠오르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40대 이상에게 팔달문은 여전히 청춘의 추억이 깃든 특별한 공간이다. '7080'이라는 키워드의 꾸준한 상승세는 이들의 문화적 정체성과 깊은 관련이 있다. 데이터와 문화 코드를 통해 수원이라는 도시가 품은 시간의 결을 읽어보고자 한다.
localD.In
깍지 뉴스레터 7회: 팔달산이 잇는 경기도청 옛청사와 행궁동의 새로운 이야기

깍지 뉴스레터 7회: 팔달산이 잇는 경기도청 옛청사와 행궁동의 새로운 이야기

팔달산은 계절적 명소를 넘어 지역 주민들의 일상 속 자연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실버세대부터 다양한 세대가 자연 속에서 걷고, 운동하며 균형 잡힌 삶을 만들어가는 이곳은 행궁동과 경기도청 옛청사를 잇는 중요한 연결점이 되고 있다. 도심과 자연의 조화를 기반으로 한 어반 네이처 라이프스타일은 공간 활용을 넘어, 도시와 지역 커뮤니티가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localD.In
깍지 뉴스레터 6회: 트렌드가 지나가도, 미술관과 박물관은 추억을 쌓아갈 수 있을까?

깍지 뉴스레터 6회: 트렌드가 지나가도, 미술관과 박물관은 추억을 쌓아갈 수 있을까?

디지털 네이티브인 Gen Z는 짧고 강렬한 콘텐츠를 통해 새로운 경험을 빠르게 공유하고 전파한다. 이들이 만들어낸 트렌드는 다른 세대에게로 확산되어 전체 세대의 문화적 흐름에 영향을 준다. 행궁동이 이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기 위해선, 문화시설과 상권이 협력해 더욱 풍부한 경험을 제공하는 새로운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시간이 쌓여 추억이 되는 거리, 행궁동은 그런 거리가 될 수 있을까?
localD.In
깍지 뉴스레터 5회: 미술관 옆 박물관이 살아있다.

깍지 뉴스레터 5회: 미술관 옆 박물관이 살아있다.

화성행궁의 야간 개장 '달빛화담'은 많은 이들의 발걸음을 행궁동으로 이끌었다. 그렇다면, 특별한 경험을 위해 모인 사람들이 화성행궁만을 찾았을까? 조용히 자리를 지키던 수원화성박물관은 2023년 수원의 주요 관광지 5위에 올랐다. 사람들은 수원화성에서의 깊은 역사적 체험을 마무리하며 자연스럽게 화성박물관으로 향한다. 지역의 공공문화시설과 연계해 행궁동 상권이 이 심리적 연결을 확장하여, 지역 활성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보자.
localD.In
깍지 뉴스레터 4회: 공방으로 들어간 원데이 클래스

깍지 뉴스레터 4회: 공방으로 들어간 원데이 클래스

이번 깍지 뉴스레터에서는 전통 공방 체험이 단순한 공예 활동을 넘어 특별한 이야기와 감각을 남기는 경험으로 확장되는 가능성을 탐구합니다. 수원 공방거리에서의 원데이 클래스는 예약 시스템을 통해 접근성을 높이고, 서로의 문화를 담은 구체적인 체험과 사람 사이의 교감을 통해, 단순한 방문이 아닌 깊이 있는 추억을 만들어갈 기회를 제공합니다.
localD.In